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그런데 국토부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는 이 4분의 공백을 일주일 전부터 알고 있었습니다.<br> <br>녹취록 작성을 한 지난 4일 저장이 중단된 것을 알고, 이틀 뒤 교차 검증을 위해 미국으로 보낸 겁니다.<br><br>김재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 4일 음성기록장치에 충돌 전 마지막 4분간의 기록이 저장되지 않았단 사실을 파악했습니다. <br> <br>이틀 전만 해도 사조위는 음성기록장치에서 2시간 분량의 음성 파일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주종완 / 국토부 항공정책실장(지난 2일)] <br>"조사관들이 음성 파일 들어가면서 내용을 확인하게 됩니다." <br><br>녹취록을 작성한 결과 충돌 전부터 4분의 공백이 있음을 확인한 겁니다. <br> <br>확보된 2시간 분량의 음성 파일은 오전 6시 59분부터 오전 8시 59분까지입니다. <br> <br>그로부터 이틀 뒤인 지난 6일 비행기록장치와 함께 미국으로 보냈지만 분석 결과, 두 장치 모두 마지막 4분의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오늘 발표한 겁니다. <br> <br>4분간의 공백을 늦게 공표한 이유에 대해 사조위 관계자는 "복구 가능성과 함께 미국과 교차검증을 진행하자는 내부 방침이 있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두 장치 모두 충돌 전 마지막 4분이 저장되지 않으면서 사고 원인 파악에도 난항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[장영근 / 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기계공학부 교수] <br>"(기장이) 복행한다 해놓고 (이후에) 정보가 없다는 거거든요. 이제 원인 규명이 아니고 추정을 (해야) 하는 거죠." <br> <br>사조위는 무안공항 관제 기록과 현장 잔해 부품 분석을 이어간단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석동은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